목록코딩 (19)
잠 안 올 때 끄적끄적

내가 노션 휴지통 한 번에 비우려고 이거 챗지피티한테 물어봤거든 그랬더니 코드를 잘 짜줬다? 더보기 // 좌표 저장 배열 var coordinates = []; // 현재 클릭 인덱스 var currentIndex = 0; // 클릭 동작 중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수 var isClickingStopped = false; // 마우스 클릭 이벤트 핸들러 function handleMouseDown(event) { // 엔터를 누르기 전까지만 클릭 좌표 저장 if (event.type === "mousedown") { var x = event.clientX; var y = event.clientY; coordinates.push({ x: x, y: y }); console.log("좌표 저장됨:", x, y..

M1은 참 별난것도 많지... 윈도우로 하던 거 다 이상하게 안돼서 처음부터 다시하느라 골아프다 흑흑 제일 힘든 환경설정을 드디어 끝냈다. 1. CONDA 설치 - miniforge3 m1이라면 miniforge를 설치하자. 더보기 - miniforge와 anaconda는 둘다 파이썬 패키지 매니저인 Conda의 배포판. - 차이점: default channel & supporting architecture. miniforge는 conda-forge를, anaconda는 anaconda.org를 사용함. conda-forge는 community-driven project라서 anadonda에 없는 패키지도 있음. 또한 miniforge는 anaconda보다 많은 architecture를 지원함. Mac..

1. tessearct 설치 2. lang 한국어 추가 안익숙한 맥에 안익숙한 vscode 안익숙한 플젝 하려니까 애먹네 끙 pytesseract쓰려는데 자꾸 TesseractNotFoundError: tesseract is not installed or it's not in your PATH. See README file for more information. 이게 뜨는거다. 나는 VSCODE에다가 pip으로 깐 건데 뭔 path를 찾아? 하면서 찾아봤는데 다들 exe 어쩌구 하는거다... 보니까 일단 exe파일이 있어야 하는 게 맞고, pytesseract는 이 tesseract-ocr software에 접근할 수 있게 해 주는 wrapper래. 그래서 로컬에 깔긴 해야하더라고. 이제 해보자. 1. ..

> 문제 > 코드 def solution(N, stages): res = {k:0 for k in range(1,N+2)} for i in set(stages): res[i] = sum([st

>문제 > 풀이 이게 내 풀인데 풀이가 너무 더러워 보여서.. 눈물이 난다 def solution(dartResult): i=0 j=0 #0,1,2 b={"S":"**1","D":"**2","T":"**3"} res_li=[0,0,0] while (i

> 문제 > 코드 def solution(number, limit, power): n_dic={} for n in range(1,number+1): #공약수 구하기 div1 = [] for i in list(range(1,int(n**(1/2)+1))): if n%i ==0: div1.append(i) div2 = [n//di for di in div1] div1.extend(div2) ##### len_div = len(set(div1)) len_div = len_div if len_div

> 문제 > 코드 def solution(k, score): answer = [] newscore = [] for sc in score: newscore.append(sc) newscore.sort(reverse=True) answer.append(min(newscore[:k])) return answer 금방 풀었다. 새 리스트에 순서대로 더해서 sort()로 제일 작은 점수 찾으면 끝!

> 문제 > 코드 문제를 잘못 읽어서 한참 헤맸다. "s.count(x)"-"s.count(!x)" == 0 인 경우들을 분해하면 됐는데 문자의 개수를 각각 보고 같아질 때가 있는지를 확인한 것... 뚜쉬 저 입출력 예 #3에서 "aaabbacc〰️"가 아니라 "aaaabbacc〰️"정도만 됐어도 알아차렸을 텐데ㅠ 그리고 코드도 길게 짜서 속상하다 ㅠㅠ 일단 맞는 코드는 def solution(s): answer = 0 cnt = 0 i = 0 while s: w = s[0] for i in range(len(s)): if s[i] == w: cnt += 1 else: cnt -= 1 if cnt == 0 or i == len(s) - 1: s = s[i+1:] answer += 1 break retur..

> 문제 > 코드 나는 처음에 이렇게 풀었는데 쓸데없는 코드가 들어있었다. def solution(s): s_dict = dict() answer=[] for s_ch in set(s): s_dict[s_ch] = [s.index(s_ch)] for s_i, s_ch in enumerate(s): li = s_dict[s_ch] if li[-1] == s_i: answer.append(-1) else: answer.append(-li[-1]+s_i) s_dict[s_ch].append(s_i) return answer key에 특정 값이 있는지, 없는지는 in / not in 으로 확인하면 됐고... 그래서 처음에 for문에 적힌 과정이 필요없었던 것임 ㅠㅠ 그리고 dict value값에 모든 인덱스를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