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코딩 (19)
잠 안 올 때 끄적끄적

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 봅시다. 1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했다면 2. new project를 선택, 원하는 템플렛을 선택합니다. 저는 empty activity를 선택해 볼게요. 3. Configuration을 작성합니다. - name에 프로젝트명을 작성합니다. 저는 캘린더를 만들거라 MyCal이라 적었습니다. 이름을 적으면 다른 이름들은 자동으로 완성돼요. - language는 Java와 Kotlin이 있어요. 저는 코틀린은 안 해봤지만... 자바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이고 훨씬 간결하다고 들어서 코틀린으로 해 볼게요. - minimum SDK는 가장 낮은 버전으로 고르시면 됩니다. 자동으로 선택되어있어요. - 맨 아래에 use legacy android.support libraries 항목이 있..

진짜 왕뜬금없이 앱 만들어보고 싶어서 시작 이런 거 백수일 때 해야지 언제 하겠어 홈페이지 들어가서 다운받아줍니다 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studio?gclid=CjwKCAiAkfucBhBBEiwAFjbkr88Fxi3zZ9Ks9HmdR8eB7_OxhU0xnr7tMUdUE3-8uawm3MkxLZEyBBoCvoAQAvD_BwE&gclsrc=aw.ds Download Android Studio & App Tools - Android Developers Android Studio provides app builders with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(IDE) optimized for Android apps. Download Androi..

처음에 N은 왜 주는걸까? 싶어서 버림 처음에 두 개 받아놓고... 리스트 받아서 바로 뽑아버리기 다른 분 숏코딩 휴 나도 open(0).read()하는 거 좀 익숙해져야 할 텐데... input().split()보다 길긴 하지만 이게 메모리를 덜 잡아먹는다고 한 것 같다 ,,, 근데 근데.. i

ㅎ count가 생각이 안나서 for 문으로 cnt 올린 나 바보짓하느라 수고했다^^ 와중에 숏코딩에서 멋진거 봄 i = input 이라고 줄여서 쓸 수도 있나봐 파이썬 진짜 별 걸 다 한다... 일단 처음 몇 개 받는지는 안중요하니까 버리는거같고 그담에 list주는 거 split으로 받아서 count쓰면 되는구만

우우우... 초기 값이 있고 조건을 체크해서 결과를 내는 문제는 do while문을 써야 하는데... 파이썬에는 이게 없어서 continue, break를 이용한다. while True: task() if condition: continue break 식으로 쓰면 되는것 근데 암만 생각해도 넘 길어서 숏코딩을 봤다. ㅋㅋㅋㅋㅋㅋ :=을 쓰네 나는 안익숙해서 아직 못썼는데 ,,, while문을 보니까 ni!=ch 판별을 ni-ch가 0인지 아닌지로 판별했구만... 난 멀었구만 허허 담엔 꼭 이 방법 써봐야지

정수 입력 프로그램,,, 근데 이번엔 EOF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였다 그말은 try + except를 쓰라는 거다 except부분 안 넣었더니 런타임에러가 떠서 그거 넣었더니 해결됨 !

다른 분 숏코드 1. := 2022년부터 도입된 연산문이다. 바다코끼리 연산자래 쏘 큩 ㅠㅠ 할당과 반환을 동시에 하는 연산자 라는데, 예를 들어 a = [1,10,100] for i in a : ~~ 라고 두 줄 쓸 걸 for i in (a:=[1,10,100]): ~~ 이렇게 한 번에 쓸 수 있게 하는건가보다. 2. while 0 == while False 왜 입력받는 값이 둘 다 0, 0일때의 조건이 없나 했더니 이 성질을 써서 그랬다. 근데 a,b가 합이 0이어도 멈추는데,,, 이거는 테스트에 안 걸리나? 나도 그래서 일부러 if문으로 조건걸었는데

** 반복문으로 입력받는 경우에는 시간초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input() 대신 sys.stdin.readline() 사용이 좋음. 다만 이 경우는 개행문자(\n)까지 입력받기 때문에 .rstrip() 을 하거나 .split()으로 원하는 범위까지만 사용해야 함

[내 코드] 전에 배운 exec함수를 써 보고 싶었다. 근데 코드길이 162B에 30840 KB라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을듯 저 print문 더 짧게 쓰는 법 있던 것 같은데 흠 [숏코드] 이번 문제는 숏코드 버전이 여러 개 있었는데 이게 제일 눈에 잘 들어와서 가져왔다. 1. 일단 나처럼 n을 안 쓰고 for문에 바로 넣었다. 2. sum(물건 * 개수)를 저장할 변수명을 따로 지정하지 않고 최종값에서 빼서 0인지 확인함 3. 2로인해 print문 더 짧게가능 & print문 안에 if문 넣기 가능! print는 이렇게도 가능!!